주차 |
차시 |
학습내용 |
평가활동 |
1주 |
1차시 |
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Ⅰ
※ 오리엔테이션 : 전반적인 강의계획을 설명하고 학습과정을 설명
1. 강의제목 :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Ⅰ 2. 강의주제 : ①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개념에 대해 알고 클라이언트가 겪는 상황을 이해하고 문제해결을 위해 개입하는 실천가로서 역량과 기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② 사회복지실천현장에 필요한 실천기술의 유형을 알아보고, 사회복지실천의 전문 역량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술적 측면에 대해 이해한다. 3. 세부내용 : ① 사회복지 실천기술의 개념과 클라이언트의 상황 이해와 문제해결을 위한 역량과 기술, 기법 ② 사회복지실천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
|
|
2차시 |
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Ⅱ
1. 강의제목 :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Ⅱ 2. 강의주제 : ①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습득과 활용, 훈련단계에 대해서 알 수 있다. ② 사회복지사의 기초지식과 실천기술의 관계에 대해서 이해한다. 3. 세부내용 : ①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습득과 활용 ② 사회복지실천의 기초기술과 실천기술 적용
|
|
2주 |
1차시 |
사회복지사의 가치와 윤리Ⅰ
1. 강의제목 : 사회복지사의 가치와 윤리Ⅰ 2. 강의주제 : ①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능력과 책임성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. ② 사회복지사의 가치에 대하여 숙지하고 실천현장에서 적용이 가능하다. 3. 세부내용 : ① 사회복지사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태도 ② 사회복지사의 가치
|
|
2차시 |
사회복지사의 가치와 윤리Ⅱ
1. 강의제목 : 사회복지사의 가치와 윤리Ⅱ 2. 강의주제 : ① 사회복지사의 윤리를 숙지할 수 있다. ② 윤리적 의사결정과 윤리적 지침을 실천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다. 3. 세부내용 : ① 사회복지사의 윤리, 윤리강령 ② 실천현장에서의 윤리적 지침과 윤리적 의사결정
|
|
3주 |
1차시 |
사회복지실천현장과 실천기술의 적용
1. 강의제목 : 사회복지실천현장과 실천기술의 적용 2. 강의주제 : ① 사회복지실천현장의 종류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. ② 사회복지기관에서 사회복지사가 갖추어야 할 실무역량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. ③ 사회복지실천분야별 현장과 실천기술에 대해 알 수 있다. ④ 사회복지윤리에 대해 숙지할 수 있다. 3. 세부내용 : ①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분류 ② 사회복지기관에서의 사회복지사 실무역량 ③ 사회복지실천분야별 현장과 실천기술 ④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지켜야 할 윤리와 철학
|
|
2차시 |
실천모델과 기술Ⅰ
1. 강의제목 : 실천모델과 기술Ⅰ 2. 강의주제 :
① 인간의 행동 혹은 문제들의 원인과 전개과정에 대해 기술하고 설명할 수 있다. ② 다양한 이론을 적용하여 개입을 위한 구체적인 기술과 기법을 제시할 수 있다. ③ 인지행동 모델 가운데 사회복지사가 실천에서 적용할 수 있는 치료를 이해할 수 있다. ④ 합리정서행동치료와 인지치료, 문제해결치료에 대해 기술하고 설명할 수 있다. 3. 세부내용 : ① 인간의 행동 혹은 문제의 원인과 전개과정 ② 심리사회 모델, 행동주의 모델 ③ 인지행동 모델 ④ 합리정서행동치료, 인지치료, 문제해결치료
|
|
4주 |
1차시 |
실천모델과 기술Ⅱ
1. 강의제목 : 실천모델과 기술Ⅱ 2. 강의주제 :
① 기본모델 이후 발전한 모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② 과업중심 모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세부내용 :
① 과업중심 모델 ② 개입방식에 따른 접근모델
|
토론 |
2차시 |
실천모델과 기술Ⅱ
1. 강의제목 : 실천모델과 기술Ⅱ 2. 강의주제 : ① 해결중심모델의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② 해결중심모델의 활용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. ③ 해결중심모델의 이론적 배경, 기본 가정 및 실천원리에 대해 토의할 수 있다. 3. 세부내용 : ① 해결중심모델의 실천원리와 과정 ② 해결중심모델의 활용 ③ 해결중심모델의 이론적 배경, 실천기술과 과정
|
|
5주 |
1차시 |
실천모델과 기술Ⅲ
1. 강의제목 : 실천모델과 기술Ⅲ 2. 강의주제 : ① 동기강화모델이 가진 다른 모델과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② 동기강화모델에 영향을 미친 이론들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③ 사회복지실천에서 동기강화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. 3. 세부내용 : ① 동기강화모델이 가진 차이점과 독특성 ② 동기강화모델에 영향을 준 이론들 ③ 동기강화모델의 정신과 사회복지실천
|
|
2차시 |
실천모델과 기술Ⅲ
1. 강의제목 : 실천모델과 기술Ⅲ 2. 강의주제 : ① 위기이론에 대해 살펴보고 위기에 개입하기 위한 실천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. ② 위기를 정의하고 위기개입의 목표와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세부내용 : ① 위기이론과 관련 모델의 실천방법 ② 위기개입의 목표 및 과정
|
|
6주 |
1차시 |
개인대상 실천기술의 적용Ⅱ
1. 강의제목 : 개인대상 실천기술의 이해Ⅰ 2. 강의주제 : ① 개별 클라이언트에게 개입하는데 필요한 실천기술의 유형을 전문적 원조관계에서의 실천기술과 문제해결과정에서의 실천기술로 나누어 구분할 수 있다. ② 개인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개입모델과 기법을 알 수 있다. 3. 세부내용 : ① 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의 유형 ② 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의 다양한 개입모델
|
|
2차시 |
개인대상 실천기술의 이해Ⅱ
1. 강의제목 : 개인대상 실천기술의 이해Ⅱ 2. 강의주제 : ① 복합적인 욕구를 가진 클라이언트에 대한 개입과 빈번하게 나타나는 클라이언트의 복합적인 문제를 알 수 있다. ② 복합적인 욕구를 가진 클라이언트와 일할 때 보다 강조되는 내용에 대해 열거할 수 있다. 3. 세부내용 : ① 복합적 욕구를 가진 클라이언트에 대한 접근방법 ② 복합적 욕구를 가진 클라리언트를 대상으로 하는 실천기술
|
|
7주 |
1차시 |
개인대상 실천기술의 적용Ⅰ
1. 강의제목 : 개인대상 실천기술의 적용Ⅰ 2. 강의주제 : ① 비자발적인 클라이언트의 문제와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원조전략을 설명할 수 있다. ② 폭력적인 행동을 보이는 클라이언트의 문제와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실제적인 원조 전략, 실천지침 등을 제시할 수 있다. 3. 세부내용 : ① 비자발적 클라이언트들의 실천지침과 저항에 대한 이해와 참여 동기화 ② 폭력성과 폭력행동에 대한 개입과 안전한 실천을 위한 준비
|
|
2차시 |
개인대상 실천기술의 적용Ⅱ
1. 강의제목 : 개인대상 실천기술의 적용Ⅱ 2. 강의주제 : ① 자살위기의 클라이언트에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제시할 수 있다. ② 자살을 예방할 수 있는 실천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③ 아동학대, 가정폭력, 학교폭력 피해자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보호를 위한 실천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. 3. 세부내용 : ① 자살위기의 클라이언트에게의 접근 ② 자살 위기에 대한 개입방법 ③ 아동학대, 가정폭력, 학교폭력 피해자를 위한 실천
|
|
8주 |
1차시 |
중간고사
|
시험 |
9주 |
1차시 |
가족대상 실천기술: 개입Ⅰ
1. 강의제목 : 가족대상 실천기술: 개입Ⅰ 2. 강의주제 : ① 가족의 욕구를 파악하고 변화목표와 계획을 세우기 위한 가족사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② 가족 구성원간의 체계와 하위체계에 대해 열거할 수 있다. 3. 세부내용 : ① 가족의 욕구파악과 계획, 가족사정 ② 세대 간 혹은 가족 내부의 체계 및 하위체계와 변화를 위한 개입
|
|
2차시 |
가족대상 실천기술: 개입Ⅱ
1. 강의제목 : 가족대상 실천기술: 개입Ⅱ 2. 강의주제 : ① 생태도와 가계도를 작성할 수 있다. ② 생태도와 가계도를 분석할 수 있다. 3. 세부내용 : ① 가족간 생애주기 분석과 가족 사정 시, 생태도와 가계도 작성 ② 생태도와 가계도 분석
|
|
10주 |
1차시 |
가족대상 실천기술: 개입Ⅰ
1. 강의제목 : 가족대상 실천기술: 개입Ⅰ 2. 강의주제 : ① 환경체계 변화를 위한 가족 옹호에 대해 알 수 있다. ② 세대 간 혹은 가족 내부의 변화를 위한 가족치료 모델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술들과 기법들에 대해 알 수 있다. 3. 세부내용 : ① 환경체계의 변화를 위한 개입과 가족 옹호 ② 세대 간 혹은 가족 내부의 변화를 위한 개입
*과제 주제 : 사회복지실천기술 현장에서의 실천기술(모델) (정확한 주제는 개강 후 확인 요망)
|
과제 |
2차시 |
가족대상 실천기술: 개입Ⅱ
1. 강의제목 : 가족대상 실천기술: 개입Ⅱ 2. 강의주제 : ① 대표적인 실천모델(보웬의 모델, 전략적 모델, 구조적 모델, 경험적 모델, 정신역동 모델, 인지행동 모델, 해결중심 모델, 이야기 모델)에 대해 제시할 수 있다. ② 사회복지사가 실천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술과 기법에 대해 알 수 있다. 3. 세부내용 : ① 다양한 실천모델에 대한 제시 ② 사회복지사가 실천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술과 개입의 사례
|
|
11주 |
1차시 |
집단대상 실천기술의 이해Ⅰ
1. 강의제목 : 집단대상 실천기술의 이해Ⅰ 2. 강의주제 : ① 집단대상 사회복지실천을 이해하기 위해 집단사회복지실천의 개념, 집단의 장점, 집단역학에 대해 알 수 있다. ② 집단 사회복지실천의 접근방법에 대해 알 수 있다. 3. 세부내용 : ① 집단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집단의 장점, 집단역학 ② 집단 사회복지실천의 모델과 집단사회복지실천에서 마주할 수 있는 집단의 종류와 접근방법
|
|
2차시 |
집단대상 실천기술의 이해Ⅱ
1. 강의제목 : 집단대상 실천기술의 이해Ⅱ 2. 강의주제 : ① 집단의 종류를 분류할 수 있다. ② 집단역동에 대해 살펴볼 수 있다. ③ 집단사회복지실천의 구성요건에 대해 알 수 있다. 3. 세부내용 : ① 집단의 종류 ② 집단 역동 ③ 집단사회복지실천의 구성요건
|
|
12주 |
1차시 |
집단발달 단계별 실천기술Ⅰ
1. 강의제목 : 집단발달 단계별 실천기술Ⅰ 2. 강의주제 : ① 집단의 계획단계에 대해 열거할 수 있다. ② 집단 초기단계에서의 사회복지사 역할에 대해 알 수 있다. ③ 집단의 사정단계에 대해 열거할 수 있다. 3. 세부내용 : ① 집단의 계획단계 ② 집단의 초기단계 ③ 집단의 사정단계
|
|
2차시 |
집단발달 단계별 실천기술Ⅱ
1. 강의제목 : 집단발달 단계별 실천기술Ⅱ 2. 강의주제 : ① 집단의 사정단계에 대한 개입전략을 세울 수 있다. ② 집단의 중간단계 시기의 특징과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알 수 있다. ③ 집단의 종결단계 시기의 특징과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알 수 있다. 3. 세부내용 : ① 집단의 사정단계 ② 집단의 중간단계 ③ 집단의 종결단계
|
|
13주 |
1차시 |
사회복지실천 평가: 단일사례설계의 이용Ⅰ
1. 강의제목 : 사회복지실천 평가: 단일사례설계의 이용Ⅰ 2. 강의주제 : ① 사회복지실천 평가과정에 대해 열거할 수 있다. ② 사회복지실천의 효과성 평가에 대해 알 수 있다. 3. 세부내용 : ① 사회복지실천의 평가에 대한 이해 ② 사회복지실천의 효과성 평가
|
|
2차시 |
사회복지실천 평가: 단일사례설계의 이용Ⅱ
1. 강의제목 : 사회복지실천 평가: 단일사례설계의 이용Ⅱ 2. 강의주제 : ① 단일사례설계 사용시 고려되어야 할 점에 대해 알 수 있다. ② 개입의 목적과 목표에 대해 명확히 선정할 수 있으며 측정의 방법에 대해 알 수 있다. 3. 세부내용 : ① 단일사례설계의 유형 ② 단일사례설계 자료의 해석과 측정의 방법
|
|
14주 |
1차시 |
사회복지실천 기록Ⅰ
1. 강의제목 : 사회복지실천 기록Ⅰ 2. 강의주제 : ① 클라이언트의 욕구 및 상황을 확인, 기술, 사정하고 서비스의 목적과 활동을 비롯한 서비스 전달과정을 알 수 있다. ② 클라이언트에 대한 개입의 효과성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. 3. 세부내용 : ① 사회복지실천에서 클라이언트의 욕구 및 상황을 사정하고 서비스 전달에 관한 기록의 기능 ② 클라이언트에 대한 개입에 관한 평가 및 기록 내용의 구성요소
|
|
2차시 |
사회복지실천 기록Ⅱ
1. 강의제목 : 사회복지실천 기록Ⅱ 2. 강의주제 : ① 기록의 기능, 기록에 포함되어야 할 정보에 대해 알 수 있다. ② 좋은기록의 원칙과 조건에 대해 알 수 있다. ③ 기록과 클라이언트의 사생활 보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세부내용 : ① 사회복지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기록 ② 좋은 기록을 위한 원칙과 조건 ③ 기록과 클라이언트의 사생활보호의 권리
|
|
15주 |
1차시 |
기말고사
|
시험 |